[축구 선수 부상] 축구 선수에게 잘 발생하는 부상 부위, 빈도, 특정 부상 부위의 비율은 어떻게 될까?

안녕하세요. 메디스포츠입니다. 

이번에는 축구 선수의 부상과 관련해서 부위/타입/세부 부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참고한 논문도 링크 남겨드리겠습니다.

 

[전문 링크] https://journals.lww.com/cjsportsmed/fulltext/2023/07000/Injury_Burden_in_Professional_European_Football.13.aspx?context=FeaturedArticles&collectionId=1&casa_token=tXTdRdRFqccAAAAA:UOwu4ph6JkmlXKXk2P1qOP9lebOyszDFUaaosXio4xXTsxXaCVgVwXAc8jyeRC66ngBz7A3dXq7Fkb9EpVRemshMr98

 

Injury Burden in Professional European Football (Soccer):... :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including only studies that reported severity in the number of days of absence for each injury, incidence reported in the number of injuries/1000 hours, or reported number of injuries and exposure time and adult male football players, professionals from Eu

journals.lww.com

 

[출처] Pulici, L., Certa, D., Zago, M., Volpi, P., & Esposito, F. (2023). Injury burden in professional european football (soccer):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economic considerations.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33(4), 450-457.


 

축구는 프로, 아마추어, 어린 유소년 선수 모두에게 부상 빈도가 높은 스포츠 중 하나입니다. 축구 선수의 부상 발생 빈도를 는, 1,000 시간당 유소년 선수는 2~19.4회, 프로 선수의 경우는 2.5 ~ 9.4회 정도 부상에 노출된다고 합니다. 축구 선수가 부상이 발생하면 개인과 팀의 성적뿐만 아니라 클럽의 경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렇다면, 축구 선수들에게는 어떤 부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될까요?

부상이 발생하는 부위(Injury Location), 부상의 타입(Injury Type), 특정 부상(Specific Injury)으로 구분해서 같이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상이 발생하는 부위(Injury Location)

부위 1,000 시간 당 부상
평균 발생 건수 (회)
1,000 시간 당
평균 결장 일수 (일)
1,000 시간 당
부상 부담 (일)
비율 (%)
허벅지
(Thigh)
1.85 (1.52-2.17) 13.1 (7.0-19.2) 25.0 (15.0-35.0) 25.31
무릎
(Knee)
1.10 (0.86-1.34) 32.0 (24.9-39.1) 34.8 (24.6-45.1) 15.05
엉덩이/사타구니
(Hip/grion)
1.08 (0.94-1.23) 15.5 (13.8-17.2) 16.1 (15.5-16.7) 14.77
발목
(Ankle)
1.02 (0.96-1.08) 12.4 (6.2-18.5) 13.1 (7.1-19.1) 13.50
하지/아킬레스건
(Lower leg/Achilles)
0.80 (0.61-0.99) 11.7 (9.3-14.1) 9.4 (7.0-11.2) 10.40
몸통
(Trunk)
0.61 (0.44-0.79) 5.7 (4.7-6.8) 3.3 (2.4-4.3) 8.34

(Foot)
0.46 (0.30-0.63) 13.2 (10.0-16.3) 6.4 (4.2-8.5) 6.29
상지
(Upper limbs)
0.22 (0.10-0.33) 12.0 (9.5-14.5) 2.6 (1.2-4.1) 3.01
머리 및 목
(Head and neck)
0.17 (0.14-0.20) 7.6 (3.4-11.9) 1.2 (0.01-2.4) 2.33

*1,000 시간 당 부상 부담 = 1,000 시간 당 부상 평균 발생 건수 x 1,000 시간 당 평균 결장 일수

 

부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부위를 보면, 허벅지1,000 시간 당 평균 1.85회 (25.31%)로 가장 높은 발생 비율을 가지고 있지만, 1,000 시간 당 평균 결장 일수와 시간 당 부상 부담에서는 무릎 부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무릎 부상이 발생할 경우 경기 결장이 길어지게 되어 종합적으로 부상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큰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2. 부상의 타입 (Injury Type) 

타입 1,000 시간 당 부상
평균 발생 건수 (회)
1,000 시간 당
평균 결장 일수 (일)
1,000 시간 당
부상 부담 (일)
비율 (%)
근육 손상
(Muscle Injury)
3.16 (2.56-3.77) 11.3 (8.2-14.5) 34.7 (30.0-39.3) 43.65
인대/관절 손상
(Ligament/Joint Injury)
1.68 (0.87-2.50) 23.4 (10.6-36.2) 37.9 (31.7-44.1) 23.20
타박상
(Contusion)
1.45 (1.20-1.70) 5.2 (4.1-6.4) 7.7 (5.4-10.1) 20.03
건 손상/건병증
(Tendon Injury/Tendinopathy)
0.63 (0.20-1.06) 18.8 (3.8-41.5) 9.2 (4.7-13.6) 8.70
골절/스트레스 골절
(Fracture/Stress Fracture)
0.15 (0.01-0.29) 58.6 (35.7-81.5) 7.6 (1.0-14.2) 2.07
반월상연골/연골 손상
(Meniscus/Cartilage Injury)
0.13 (0.03-0.27) 31.3 (8.1-54.5) 4.3 (1.1-7.5) 1.80
찰과상/열상
(Abrasions/Lacerations)
0.04 (0.03-0.11) 2.5 (0.4-5.4) 0.05 (0.0-0.2) 0.55

*1,000 시간 당 부상 부담 = 1,000 시간 당 부상 평균 발생 건수 x 1,000 시간 당 평균 결장 일수

 

부상의 타입을 보면 근육 손상1,000 시간 당 3.16회(43.65%)가장 높은 발생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1,000 시간 당 평균 결장 일수를 보면 골절/스트레스가 가장 긴 결장 기간을, 부상 부담은 인대/관절 손상이 가장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특정 부상 (Speficific Injuries) 

부상 1,000 시간 당 부상
평균 발생 건수 (회)
1,000 시간 당
평균 결장 일수 (일)
1,000 시간 당
부상 부담 (일)
비율 (%)
햄스트링
(Hamstring)
1.06 (0.93-1.19) 14.0 (11.2-16.9) 15.4 (11.6-19.3) 25.24
내전근
(Adductor)
0.67 (0.61-0.73) 13.5 (12.4-14.7) 9.4 (8.4-10.4) 15.95
발목 염좌
(Ankle sprain)
0.62 (0.47-0.77) 11.8 (7.5-16.2) 7.4 (5.1-9.8) 14.76
대퇴사두근
(Quadricep)
0.43 (0.36-0.51) 14.6 (8.2-21.0) 7.4 (6.2-8.5) 10.24
종아리
(Calf)
0.32 (0.25-0.39) 13.1 (8.7-17.5) 4.7 (3.9-5.7) 7.62
내측측부인대
(MCL)
0.31 (0.29-0.34) 23.0 (22.2-23.8) 7.2 (6.5-7.9) 7.38
허리 통증
(Low back pain)
0.20 (0.17-0.23) 8.8 (5.4-12.3) 2.0 (1.7-2.3) 4.76
아킬레스건병증
(Achilles tendinopathy)
0.19 (0.16-0.22) 20.5 (16.6-24.4) 4.1 (3.3-4.9) 4.52
슬개건병증
(Patellar tendinopathy)
0.18 (0.03-0.33) 10.1 (1.8-18.5) 1.7 (1.4-2.0) 4.29
전방십자인대
(ACL)
0.06 (0.05-0.07) 211.3 (180.8-241.9) 14.4 (12.2-16.6) 1.43%
뇌진탕
(Head concussion)
0.06 (0.04-0.08) 7.2 (0.9-13.6) 0.6 (0.4-0.8) 1.43
발목 관절 탈구
(Isolated syndesmosis ankle injury)
0.04 (0.03-0.06) 41.0 (36.9-45.2) 1.7 (1.3-2.1) 0.95
제5중족골 골절
(Fifth metatarsal fracture)
0.04 (0.03-0.04) 84.3 (76.0-92.6) 3.1 (2.5-3.7) 0.95
발목 뼈 골절
(Ankle bone fracture)
0.02 (0.01-0.02) 84.1 (73.2-95.0) 1.8 (1.1-2.5) 0.48

*1,000 시간 당 부상 부담 = 1,000 시간 당 부상 평균 발생 건수 x 1,000 시간 당 평균 결장 일수

 

ACL이 가장 긴 결장 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발생 빈도와 함께 고려했을 때, 햄스트링과 ACL 부상가장 높은 부담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개인이나 팀에서 이런 유형의 부상을 입었을 때 성과나 재정적 등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ACL과 같이 장기 결장이 예상되는 부상의 경우는 미리 예방하고 손상 시 복구하는데 더 많은 전략과 자원이 필요하겠습니다.


정리하면, 허벅지 부상이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지만, 부상 부담을 고려한다면 무릎 부상이 가장 큰 부담입니다. 이것은 무릎 부상의 심각도가 다른 부위보다 비교적 높고 재활 기간이 더 길기 때문입니다. 

 

근육 부상은 전체 부상의 20~37% 정도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인대 부상의 경우 1,000시간당 37.9일로 더 높은 부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발목 염좌와 같은 빈번한 부상이나 ACL 파열과 같은 심각한 부상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ACL과 같은 심각한 부상에 대한 예방 전략을 잘 세우고 특히, 안전한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빠른 복귀를 위한 회복 전략이 중요합니다. 반면, 허벅지, 햄스트링 부상과 같이 발생률은 높지만 중등도 이하의 심각도를 보이는 경우에는 예방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표들을 참고하여 회복과 성공적인 복귀 계획을 세워야 하며, 팀은 부상에 관한 데이터를 잘 수집하고 관리하여 경제적인 부담까지 줄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원문 링크 참고하시면, 경제적인 부담에 대한 정보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축구 선수 부상과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medisports.tistory.com/entry/soccer-player-Anterior-Cruciate-Ligament-ACL-Injury-rehabilitation

 

[축구 선수 부상 - 1]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파열과 재활 운동 단계

지난 시간에 축구 선수에게 부상이 잘 발생하는 부위, 타입 그리고 세부 부상 부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면 되시겠습니다. 오늘은 축구 선수의 전방십

medisports.tistory.com

https://medisports.tistory.com/entry/soccer-player-Hamstring-injury-rehabilitation

 

[축구 선수 부상 - 2] 축구 선수의 햄스트링(Hamstring) 손상과 재활 운동 단계

안녕하세요. 메디스포츠입니다. 오늘은 축구 선수에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손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축구 선수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손상 부위는 허벅지

medisports.tistory.com

https://medisports.tistory.com/entry/soccer-player-ankle-injury-inversion-sprain-rehabilitation

 

[축구 선수 부상 - 3] 축구 선수의 발목 부상(Ankle Injury)과 재활 운동 단계

안녕하세요. 메디스포츠입니다. 오늘은 축구 선수의 다양한 부상 중에서 세번 째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발목 염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https://medisports.tistory.com/entry/soccer-player-injury-rate-locati

medisports.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