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디스포츠입니다.
오늘은 축구 선수의 다양한 부상 중에서 세번 째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발목 염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ttps://medisports.tistory.com/entry/soccer-player-injury-rate-location
[축구 선수 부상] 축구 선수에게 잘 발생하는 부상 부위, 빈도, 특정 부상 부위의 비율은 어떻게
안녕하세요. 메디스포츠입니다. 이번에는 축구 선수의 부상과 관련해서 부위/타입/세부 부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이와 관련해서 참고한 논문도 링크 남겨드리겠습니다. [전문 링
medisports.tistory.com
축구 선수의 발목 부상은 갑작스러운 방향전환, 점프, 커팅 등의 동작이 주를 이루는 축구 선수에게 잘 발생하는 부상 중 하나입니다. 발목 부상이 발생하게 되는 위험 요인으로 연습 경기나 실제 경기 등 다양한 상황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개인적인 생리 및 심리적(내재적) 요인과 경기장 환경 등과 같이 외부의 힘에 의한(외재적) 요인으로 구분됩니다. 내재적 요인이 되는 주된 요소로는 선수 개인의 다리 길이, 기능적 불균형, 나이, 과거 부상력 등이 있습니다. 또한, 외재적 요인으로는 충분하지 못한 준비 운동, 해부학적 특성, 경기장 잔디의 상태 등이 있습니다.
축구 선수의 발목 부상 종류에 대해 살펴보면, 염좌(sprain), 좌상(strain), 타박상(contusion), 골절(fracture)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이 중 발목 염좌(Ankle sprain)는 모든 스포츠 부상의 40% 그리고 축구 부상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록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상입니다. 발목 관절은 사람과 지면을 가장 먼저 연결하는 부위로써 기계적 부하를 직접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축구 선수는 점프, 킥 동작에서 특히, 달리기 및 컷팅 등에서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는 발목 관절이 안정적으로 지면과 접촉하기 위해서 균형 감각, 신경근 조절 및 고유수용성 감각을 훈련시키는 방법이 축구 선수의 발목 부상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고 보고되었습니다.
1. 발목 염좌(Ankle sprain)
발목 염좌는 발목 관절 주위에 있는 인대들이 손상을 입은 것을 의미하며, 모든 스포츠 상황에서 발목 염좌의 85%는 발바닥이 안쪽으로 뒤틀리는 내번(inversion sprain)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발목뼈의 구조를 보면 비골의 외측이 경골의 내측 길이보다 길어 내반의 움직임을 수행하는데 더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내측 내번이 발생하게 되면 세 가지 발목 외측 인대인 전거비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후거비인대(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에 손상을 입게 됩는데 연구에 따르면 특히, 어린 남자 선수에게 15% 이상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합니다.
2. 발목 염좌 증상과 손상 정도
1) 발목 염좌 증상
손상된 부위를 움직이거나 발을 땅에 디딜 때 발목 외측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발목 주위가 붓게 되며, 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목이 불안정하다고 느끼며, 발목을 움직일 때 느슨한 느낌이 들게 됩니다.
붓기와 통증으로 발목의 움직임이 제한되며 발목을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발목 염좌에는 손상 정도에 따라 3 단계 염좌로 분류됩니다.
손상 정도에 따른 발목 염좌 단계 | ||
단계 | 증상 | 회복 기간 |
1도 염좌 | 인대가 늘어난 상태로 경미한 손상 | 1~3주 |
2도 염좌 | 인대가 부분파열된 상태로 중증도 손상 | 6~8주 |
3도 염좌 | 인대가 완절파열된 상태로 중증도 이상 손상 | 3~6개월 |
다음은 손상 정도에 따른 발목 염좌 단계와 재활 기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손상 정도에 따른 발목 염좌 단계와 재활 기간 | ||
단계 | 증상 | 기간 |
1도 염좌 | 인대가 늘어난 상태로 경미한 손상 | 초기 단계(1~3일) |
중기 단계(4~7일) | ||
후기 단계(7~14일) | ||
2도 염좌 | 인대가 부분파열된 상태로 중증도 손상 | 초기 단계(1~7일) |
중기 단계(2~4주) | ||
후기 단계(4~6주) | ||
3도 염좌 | 인대가 완절파열된 상태로 중증도 이상 손상 | 초기 단계(1~3주) |
중기 단계(4~8주) | ||
후기 단계(8~12주) |
3. 발목 재활 운동 방법 및 목표
발목 재활 운동은 각 손상 정도에 따라 재활 기간을 초기, 중기 및 후기로 구분합니다. 각 기간에서 초기 단계는 부종 및 통증 관리, 중기 단계는 가동성 및 근력 회복 그리고 후기 단계는 균형 및 안정성 확보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부종 및 통증 관리
발목 염좌 후 초기 단계에서는 RICE: 휴식(Rest), 냉찜질(Icing), 압박(Compression), 거상(Elevation)을 실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축구 선수의 햄스트링 재활 관련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medisports.tistory.com/entry/soccer-player-Hamstring-injury-rehabilitation
[축구 선수 부상 - 2] 축구 선수의 햄스트링(Hamstring) 손상과 재활 운동 단계
안녕하세요. 메디스포츠입니다. 오늘은 축구 선수에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손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축구 선수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손상 부위는 허벅지
medisports.tistory.com
2) 가동성 운동
발목을 위, 아래, 안쪽 바깥쪽으로 가볍게 움직여 줍니다. 발목으로 가볍게 원을 그리거나 알파벳 ABC를 그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3) 근력 운동
밴드를 활용하여 위, 아래, 안쪽 바깥쪽으로 당기는 운동을 실시하거나, 바닥에 수건을 깔고 발가락 굽힘 및 폄운동을 실시합니다.
4) 발목 고유수용성감각 및 안정성 운동
맨땅에서 보수볼 등을 활용하여 발목 안정성을 향상하는 운동을 진행합니다.
축구 선수에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발목 염좌와 재활 운동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발목 부상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 나는 것이 염좌이며 특히, 내번 염좌가 가장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발목 부상과 관련해서 예방하기 위해 발목의 균형 감각, 신경근 조절 및 고유수용성 감각을 훈련시키는 방법이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특히, 어린 선수에게 쉽게 발생하는 부상이기 때문에 유소년, 청소년 축구 선수의 균형 및 고유수용성 감각을 평가하고 위와 같은 훈련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Training & Rehabilitation > Rehabilitation Metho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길 빅3 운동] 척추 안정화와 요통 완화를 위한 최고의 코어 운동 (0) | 2025.01.16 |
---|---|
척추관협착증이란? 디스크와 비교하며 알아보는 증상, 진단 그리고 재활 운동 방법 (0) | 2025.01.14 |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의 증상, 진단과 재활 운동 방법 (1) | 2025.01.13 |
[축구 선수 부상 - 1]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파열과 재활 운동 단계 (2)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