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에 대해서
시작에 앞서서,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통계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의 척추관협착증 환자수는 2022년 170만 명으로 디스크 환자보다 약 100만 명이 적습니다. 하지만, 환자의 연령대 분포를 보면 60~70대에 발병률이 가장 높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늘은 요통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인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에 대해서 디스크와 비교하며 증상, 진단 그리고 재활 운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스크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면 되시겠습니다.
https://medisports.tistory.com/entry/disk-herniated-diagnosis-sympoms-rehabilitation-exercise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의 증상, 진단과 재활 운동 방법
오늘은 척추 질환 중에서 대표적인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의 정의와 증상, 진단 그리고 재활 운동 방법에 대해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간판탈출증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디스크라고
medisports.tistory.com
1. 척추관협착증 정의
척추관협착증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하여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 신경근(추간공)관이 좁아져 허리의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주로 중년 이후에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에 압박을 주게 되어 하지에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처럼, 요추에 있는 신경을 누르게 되어 발생하는 통증으로 다리 저림을 유발하는 것은 유사하지만, 허리디스크는 젤리와 같은 수핵이 삐져나와 신경을 누른다는 점이 협착증과 다릅니다.
- 척추관협착증: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
- 추간판탈출증: 디스크의 수핵이 흘러나와 신경을 압박
2. 척추관협착증 증상 (디스크와 비교해서)
척추관협착증과 디스크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통해 비교해보겠습니다. 두 질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협착증은 주로 엉덩이 쪽으로 통증이 심하고,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리고 앉을 때 통증 감소(신경인성 간헐절 파행증) 하며, 반대로 디스크는 허리를 펼 때 통증이 감소합니다.
협착증 | 디스크 | |
공통점 | 허리 통증이 빈번하게 발생 | |
다리감각장애 및 근력저하 유발 | ||
차이점 | 엉덩이나 항문쪽으로 찌르거나 쥐어짜는 등 타는 듯한 통증 | 다리 저림 및 엉덩이 통증 발생 |
허리를 펼때 통증 증가 | 허리를 굽힐때 통증 증가 |
3. 척추관협착증 원인 및 진단
1) 척추관협착증의 원인
척추관협착증의 원인으로는 대부분 노화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30세 이후부터 수핵과 섬유륜에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추간판이 부착된 분위가 떨어져 뼈가 튀어나오게 되는 것처럼 변형이 됩니다. 또한, 척추관을 구성하는 돌기, 인대 등에서도 두꺼워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척추관 주변이 좁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척수와 신경근을 압박하게 되고 혈류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2) 척추관협착증의 진단
허리를 굽힐 때 통증이 발생하면 디스크, 허리를 필 때 통증이 주로 발생한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자기 공명 영상(MRI)를 사용하게 됩니다.
3) 척추관협착증 재활 운동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한 요통의 감소를 위한 운동으로는 허리디스크와는 다르게 허리를 구부리는 종류의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윌리엄(Williams) 운동입니다. 윌리엄운동은 허리디스크에 효과적인 맥켄지(Mckenzi) 운동과는 다르게 허리를 앞으로 굽혀 골반의 후방경사를 일으켜 척추의 뒤쪽 조직을 늘려 공간을 넓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Exercise 1: 윗몸일으키기와 유사한 동작으로, 발을 바닥을 눌러준 후 상체를 일으켜 세웁니다.
- Exercise 2: 무릎을 구부린 채로 바닥에 누운 후 골반을 바닥을 누릅니다. 5~10초 자세를 유지합니다.
- Exercise 3: 양쪽 다리를 구부리고 양 팔로 잡아 가슴 쪽으로 당긴 후 구부린 다리에 체중을 실어 10초 유지합니다. 한쪽씩 진행해 주어도 됩니다.
- Exercise 4: 허벅지 뒤 근육이 스트레칭되도록 손으로 발 끝을 잡고 당겨주면서 무릎을 바닥에 닿도록 합니다.
- Exercise 5: 발을 어깨너비로 위치하고 손으로 바닥을 지지한 채로 한 발의 무릎을 굽혀 앞으로 뻗습니다.
- Exercise 6: 스쿼트 동작과 유사하지만, 등, 허리, 고관절을 구부린 상태로 쪼그려 않은 후 일어납니다.
디스크와 비교하여 척추관협착증의 증상, 진단 그리고 재활 운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많이 복잡하실 수도 있지만, 가장 큰 차이점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척추관협착증 | 추간판탈출증 | |
정의 |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 압박 | 추간판의 수핵이 삐져나와 신경 압박 |
주요 증상 | 허리를 펼때 통증 발생 | 허리를 구부릴때 통증 발생 |
재활 운동 방법 | 윌리엄(Williams) 운동 | 맥켄지(Mckenzie) 운동 |
'Training & Rehabilitation > Rehabilitation Metho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길 빅3 운동] 척추 안정화와 요통 완화를 위한 최고의 코어 운동 (0) | 2025.01.16 |
---|---|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의 증상, 진단과 재활 운동 방법 (1) | 2025.01.13 |
[축구 선수 부상 - 3] 축구 선수의 발목 부상(Ankle Injury)과 재활 운동 단계 (1) | 2025.01.03 |
[축구 선수 부상 - 1]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파열과 재활 운동 단계 (2) | 2024.12.30 |